이재명정부는 AI·모태펀드·저금리 등 실질 지원 강화에 집중합니다. 윤석열정부는 세제·규제 완화로 민간 주도 성장을 촉진했습니다.


이재명정부와 윤석열정부의 벤처·중소기업 전략은 직접 지원과 간접 지원이라는 두 방향으로 명확히 나뉩니다. 이재명정부는 AI 중심 신산업 육성, 저금리 정책자금 지원, 벤처펀드 확대 등 보다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정책을 추진하며 성장과 재정을 동시에 강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초창업 기업을 대상으로 한 저금리 융자 지원은 기업들이 실제 사업 초기부터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재명정부는 인공지능(AI)과 문화콘텐츠 등 전략 산업 육성에 총 1조 1천억 원 규모의 정부 출자를 진행해 총 1조 3천억 원의 금융 지원 확대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AI 분야에서는 AX(인공지능 전환) 지원 1조 원, 신경망처리장치(NPU) 개발 지원 3천억 원 등 공공 주도의 기술 실증과 산·학·연 협력을 통해 인프라 강화와 기술 경쟁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반면 윤석열정부는 규제 완화와 세제 우대 등 민간 주도의 시장 활성화 전략을 중심으로 삼았습니다. 플랫폼 및 디지털 기업에 대한 규제 완화와 세제 지원을 통해 민간 기업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윤석열정부는 또한 기업의 성장 단계별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스타트업이 중견기업을 거쳐 대기업으로 성장하는 단계적 발전을 촉진하고자 했습니다.

이 외에도 윤석열정부는 소상공인과 건설업계를 위한 정책 금융 지원으로 총 25조 원 규모의 금융 패키지를 마련해 이자 부담 완화와 고용 안정 효과를 기대했습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간접적이고 규제 중심의 지원 전략이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었습니다.

벤처 업계의 반응은 정부의 지원 방식에 따라 분명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재명정부의 직접 지원 정책에 대해 자금 지원과 경영 안정 측면에서 긍정적 평가가 이어졌지만, 중복적이고 비효율적인 지원이 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습니다. 반대로 윤석열정부의 정책은 일부 기업의 성장을 촉진했지만 중소기업 현장에서는 체감도가 낮아 보다 직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결국 이 두 전략의 차이는 각각의 장점과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공공 중심의 직접 지원과 민간 중심의 간접 지원 모두 중요하지만, 두 정책의 조화를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이 필요합니다. 이재명정부는 재정적 직접 지원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윤석열정부의 규제 완화와 세제 혜택 같은 간접 지원의 효과를 결합하여 균형 잡힌 정책을 펼쳐야 합니다.

향후 정부 정책이 더욱 현장 중심적으로 설계되고 집행될 때 벤처·중소기업들이 실제적인 성장을 이루며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