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케이토마토 이영호 대표

인공지능이 코딩을 대신할 날이 가까워진다면 개발자는 어떤 역량을 키워야 살아남을 수 있을까?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이 지금 전례 없는 격변기를 맞고 있다. 지난 몇 년간, AI가 빠르게 개발 업무의 중심으로 들어오면서 단순 코드 작성이나 버그 탐지, 테스트 자동화 같은 반복적인 일들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나 역시 얼마 전 회사에서 AI 에이전트를 사용한 후, 개발 작업 속도가 빨라진 걸 몸소 경험했다. 덕분에 우리 팀은 이전보다 전략적이고 창의적인 프로젝트에 몰두할 수 있었다. 우리 회사에서도 이미 개발자들이 AI 도입으로 인해 새로운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실제로 AI가 주니어 개발자 수준의 기본적인 코드까지 작성하게 되자, 개발자들은 이를 신뢰할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AI가 작성한 코드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꼼꼼한 검증과 개선이 더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개발자들은 이제 AI가 만든 코드를 점검하고 고치는 일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설계나 시스템 최적화, 심지어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같은 보다 복합적이고 창의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경력이 많은 개발자의 역할은 더 커지고 있다. 내가 만난 몇몇 베테랑 개발자들은 기술 리더십과 멘토링 능력을 키우는 데 집중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 변화가 모두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최근 실제로 AI가 작성한 코드에서 심각한 보안 결함이 발견돼 큰 논란이 된 적이 있었다. 이는 개발 현장에서 AI를 신뢰할 수 있는가 하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게 했다. 게다가 AI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개발자의 일자리가 점점 줄어드는 현상은 이제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현실이 되고 있다. 그래서인지 최근 회사에서는 AI 도입을 더욱 신중히 하고, 철저한 검증 프로세스를 마련하는 분위기다.

AI와 인간의 협력 방식도 점차 진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 관리 같은 분야에선 AI가 데이터 분석과 최적화 업무를 맡으며 큰 성과를 내고 있다. 내가 직접 경험한 바로는, 프로젝트 관리나 문서화, 팀 간 지식 공유에서도 AI 협업 도구들이 업무 효율을 크게 끌어올렸다. 앞으로는 AI와의 협력이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AI를 적극 활용하지 않는다면 시장 경쟁력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결국 AI를 경쟁 상대가 아니라 협력자로 인식하는 태도다. AI가 아무리 발전해도 인간의 창의성과 통찰력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다. 오히려 AI가 인간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인간은 AI가 미처 생각지 못한 창의적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협력해야 할 것이다. AI와 인간이 함께 더 큰 가치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가 돼야 한다.

이제 개발자는 단순히 기술을 잘 다루는 사람에 머물 수 없다. AI 기술을 깊이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활용할 줄 아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내가 만난 많은 개발자들도 이러한 변화에 대비해 AI와의 협력을 고민하고 있다. AI 시대를 맞아 우리 모두가 기술적 능력뿐 아니라 기술과 인간의 조화를 이끄는 지혜를 가져야 할 때다.

필자 소개 : 오케이토마토 대표이사 이영호는 2005년 회사 설립 이후 세종문화회관, 서울대, 경희대와 같은 국내 주요 공공기관과 대학의 홈페이지 및 서버 구축, 클라우드 시스템을 개발 및 디지털 에이전시 산업을 선도해온 경영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