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과 2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돕는 AI 컨퍼런스 2025’가 AI의 사회적 가치와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자리로 마무리됐다. 이번 행사에서 카카오임팩트는 ‘AI 네이티브 소셜 임팩트’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단순 기술 혁신을 넘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접근법을 제안했다.

코엑스 행사장 안에서 돕는 AI컨퍼런스는

특히 행사 첫날 기조연설에 나선 류석영 KAIST 전산학부 학부장이자 카카오임팩트 이사장은 “AI가 사회문제를 만났을 때 비로소 새로운 임팩트가 시작될 수 있다”며 “기술 뒤에는 사람이 있고, 추상화된 알고리즘 뒤에는 구체적인 삶이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AI 시대는 기술 자체보다 그것을 어떤 문제 해결에 쓸 것인가에 따라 진정한 가치가 달라진다”며 “사회혁신가들과의 협력은 앞으로 AI 활용의 핵심 열쇠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틀간 다양한 기업들의 강연이 이어졌다. (사진= 돕는 AI 컨퍼런스 무대)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 센터장이자 카카오임팩트 초대 이사장이 직접 나서 “AI가 개인의 편의와 효율을 넘어 사회적 불평등과 환경 문제 같은 복잡한 과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제는 기술이 만들어낼 방향성과 책임에 대해 근본적으로 질문할 때”라고 강조했다.

현장에서는 AI를 활용한 ▲고령화 대응 ▲교육 격차 해소 ▲환경 보호 프로젝트 등이 사례로 소개되며, 단순한 기술 전시가 아닌 실질적인 사회 혁신 모델을 공유하는 자리로 채워졌다. 특히 스타트업, 비영리단체, 공공기관이 함께 참여해 AI를 통한 협력 생태계 구축의 가능성을 보여준 점이 돋보였다.

행사장에서 카카오 임팩트의 돕는 AI 컨퍼런스가 가장 인기 있었다
(사진=줄을 서서 입장시키는 카카오 임팩트 강연장)

이번 컨퍼런스는 AI가 사회 혁신을 위한 실질적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카카오임팩트가 주도한 무대가 가장 큰 주목을 받았다. 기술과 사람이 만나는 지점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 카카오임팩트의 비전은 앞으로 한국 AI 생태계의 방향성을 가늠할 중요한 이정표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